2009년 6월 12일 금요일

베트남 바이어_급락기 클레임

08년 하반기부터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내가 거래하는 품목도 큰 변동을 거쳤다.

한때 기존 가격의 300%까지 폭등했던 가격이 급락하면서 거래상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우리 회사의 기본 거래 방침은 급등락기에도 거래선 마인드 관리를 우선시 하기 때문에

제품 퀄리티나 가격 변동에 따른 손실도 클레임 보다는 mutual한 해결 방식을 찾는 것을 우선시 한다.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 같은 국가들에는 이런 방식이 통하는 곳이 많다.

가격 싼 제품이 최고인 commodity market이긴 하지만

결국에는 어떤 품목이는 끝에는 사람장사이고, 그렇기 때문에 서로 얼굴 붉힐만한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은연중에 지켜지고 있는 원칙이다.

 

하지만 베트남 바이어들은 예외다.

가격이 급등할 때는 기존 계약한 선적건은 어떤 경우에도 취소가 안된다고 으름장을 놓더니

가격이 급락하자 계약은 무시하고 도망가는 거래선이 있지를 않나,

제대로 선적이 이행이 되었더라도 퀄리티를 문제삼아 클레임을 치고,

해운의 특성 상 배 스케줄은 정말 하늘만이 아는거라는걸 뻔히 알면서도

신용장 상 SD를 하루만 넘겨도 amend를 받아 주지 않고 난리를 친다.

 

여기서 클레임에 대해 간단히 한번 정리 해 보자.

 

1. 무역 클레임의 발생


1) 클레임의 의의
무역거래에서 클레임(claim)이란 매매계약의 한 당사자가 그 계약을 위반함으로써 계약의 다른 당사자가 그것으로 인해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것이다. 무역 클레임은 광의의 개념에서는 단순한 불평(complaint)이나 경고(warning)도 포함한다. 협의의 개념에서 물품 및 기회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것이다. 무역 클레임은 매도인(수출업자)의 결제상의 클레임 제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매수인(수입업자)측에서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무역 클레임의 원인
(1) 간접적 원인
① 당사자간 의견의 차이
② 계약당사자가 각기 사용하는 언어의 상이
③ 각국의 법과 상관습의 상이
④ 신용조사의 미비
⑤ 운송 중의 위험
⑥ 가격 덤핑
⑦ 상이한 도량형
⑧ 상대국의 식품위생법이나 독과점법 등


(2) 직접적 원인
① 품질불량
② 수량의 부족
③ 고장불량
④ 선적불이행
⑤ 불완전 보험계약 체결
⑥ 대금의 지불지연이나 지불거절
⑦ 신용장의 불개설 혹은 지연
⑧ 거래알선에 따른 수수료 미지금 등이 있다.


3) 무역 클레임의 청구내용
(1) 금전의 청구를 내용으로 하는 클레임
클레임을 제기하는 이유는 대부분 손해배상청구, 대금지급거절, 대금감액요청 등이 있다.


(2) 금전 이외의 청구를 내용으로 하는 무역 클레임
클레임을 제기하는 이유 중에서 금전 이외의 청구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 있는데 화물의 인수거절, 계약이행청구, 잔여계약분의 해제요청 등이다.


2. 무역 클레임의 종류
클레임의 종류에는 크게 상품, 포장, 선적, 마케팅 클레임, 운송, 결제 등에 관한 클레임이 있으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1) 상품에 대한 클레임
① 품질불량
② 규격상이
③ 수량 과부족
④ 내용상이 : 사실상의 계약내용과 다른 상품이 인도되었을 때 발생하는 클레임이다.

2) 포장에 관한 클레임


3) 선적에 의한 클레임
① 선적지연
② 선적불이행


4) Market 클레임
매수인이 계약 당시에 비해서 당해 상품의 국제가격 폭락으로 상품을 팔 수 없을 때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계약상품의 인수를 거부함으로써 야기되는 클레임이다.


5) 운송 클레임
환적(transhipment), 환적 중 파손(damaged during transhipment), 취급불량(bad handling), 분실(missing), 유실(drifting away), 도난(pilferage) 등이다.


6) 결제 클레임
① 대금미지급(non-payment)
② 어음할인거부(reluctance to negotiate draft)
③ 초과지급금의 불청산(non-settlement of over payment)
④ 송장상의 과오(error in invoice)
⑤ 부정송장(incorrect invoice)


7) 기타의 클레임
① 신용장 발행지연(delayed issue of L/C)
② 계약위반(breach of contract)
③ 계약취소(cancellation of contract)

물류관리사 파워로지스틱스 국제물류론 157p 중에서

 

베트남 바이어들이 가장 많이 제기하는 클레임 내용들을 위에 볼딕으로 처리 해 봤다.

위 내용에서 조금 정정하고 싶은 것은

 

베트남 바이어들이 클레임을 제기하는 원인은

4) Market 클레임
매수인이 계약 당시에 비해서 당해 상품의 국제가격 폭락으로 상품을 팔 수 없을 때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계약상품의 인수를 거부함으로써 야기되는 클레임이다.

즉, 계약 당시보다 물건 가격이 떨어져 물건 판매에 있어 손실이 예상 될 때 제기하는 것이며,

 

그 핑계로 드는 것이

(2) 직접적 원인
① 품질불량
② 수량의 부족

그리고

1) 상품에 대한 클레임
① 품질불량
③ 수량 과부족

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클레임을 해결하는 방법은 아직 현대 의학으로는 규명되지 않았고, 보다 광범위한 베트남 바이어들의 뇌 구조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istory 태그: ,,

댓글 없음:

댓글 쓰기